(1) Local repository
(2) source 설치
1. Local repository
- 인터넷 저장소
-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
<Local repository 생성>
1. centos7 everything이 필요 : wiki.centos.org -> download -> 7.9 mirrors




2. 실행중인 vm의 cdrom에 everything.iso 파일 넣기

3. [lsblk] 명령어로 디스크 확인 후 디렉토리 /cd 생성

4. /dev/sr0 or /dev/cdrom 으로 마운트



5. cdrom의 패키지 파일 복사



6. 외부 사이트에 있는 기존 repository 정보 파일 이동

* mv 명령어로 파일을 다 옮겨 외부 repository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yum으로 설치 불가

7. rpm 명령어를 사용해 미리 준비한 createrepo 패키지 설치


8. local repository 정보파일 작성 (yum 으로 설치가 가능하도록)


9. [createrepo] 명령어를 사용해 local repository를 생성 후 확인


10. [yum] 명령어를 사용해 dhcp 설치로 확인


11. local repository 삭제



* 다시 원래대로 돌리기 위해서는 /backup 에 있는 파일들을 다시 옮기면 가능





2. Source 설치
1. 환경 설정
- 설치 위치 및 필요 lib 구성
# .configure --prefix=설치경로
2. 컴파일
-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코드로 작성된 파일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작업
# make
3. 설치
- install
# make install
<자동 설치해보기>
1. [yum] 명령어를 사용해 웹서비스(httpd)를 설치

2. 시스템 실행, 방화벽 해제

3. 관련 서비스들 삭제

<Source 설치해보기>
1. 실습에 필요한 디렉토리와 패키지들 설치
- gcc : apr 설치에 필요
- gcc-c++ : pcre 설치에 필요
- wget : CLI 모드인 리눅스에서 파일 다운을 할 때 필요


2. Source 설치를 위한 파일 찾기
apache.org 사이트를 통해 파일 링크 주소 복사해서 사용



3. [wget] 명령어를 사용해 복사한 링크로 패키지 다운 받기

4. 의존성 문제를 일으키는 패키지 다운 받기
- apr



- apr-util


- pcre (pcre.org 사이트 이용)





5. 파일 확인

6. 파일 압축 해제





7. apr 설치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후 설치할 경로 설정

- 환경설정이 끝난 후 컴파일과 설치 진행

8. apr-util 설치


9. pcre 설치


10. httpd 설치
* 일반적으로 /usr/local/apache2 에 설치하지만 필수는 아님


11. root에 경로 추가




* 기본 경로를 추가하지 않으면 명령어를 실행할 때 경로를 적어줘야함

12. apachectl 실행


13. apachectl 중지


| [29] FTP | Well Known Port | FTP 실습 (1) (0) | 2022.03.16 |
|---|---|
| [22] Linux 공개키 & 개인키 (0) | 2022.03.04 |
| [Linux] Linux 패키지 관리(1) yum | rpm (0) | 2022.03.02 |
| [Linux] Linux Quota | userquota | groupquota (0) | 2022.02.28 |
| [Linux] Linux ACL (Access Control List) | 명령어 | 옵션 | 실습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