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설 IP (Private IP)
(2) 네트워크 통신 방법
(3) Subnet Mask 문제 풀기
(4) Packet Tracer 활용하여 문제 풀기
1. 사설 IP (Private IP)
- IP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한 사설IP대역을 생성
- 이외의 IP는 공인기관에서 할당을 받아야 사용 가능
- 그러나 라우팅이나 외부 인터넷에 접속 불가
A Class : 10.0.0.0~10.255.255.255
B Class : 172.16.0.0~172.31.255.255
C Class : 192.168.00~192.168.255.255
2. 네트워크 통신 방법
1. 유니캐스트 (Unicast) : 분명한 목적지가 있는 1대 1 통신 방법
2.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 네트워크 전체에 일괄적으로 전송
3. 멀티캐스트 (Multicast) : 전체중 내가 인식하는 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전송
3. Subnet Mask 문제
- 각 조건에 따라 Subnetting 하기
1. IP : 10. 0. 0. 0
SM : 255.255.255.240
> Subnet 240의 네트워크 개수=16
16/256 = 16 > 한 대역당 16개의 네트워크
1번째 대역 : 10.0.0.0~10.0.0.15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0.0.0.14
2번째 대역 : 10.0.0.16~10.0.0.31 / 실제 사용 범위 : 10.0.0.17~10.0.0.30
3번째 대역 : 10.0.0.32~10.0.0.47 / 실제 사용 범위 : 10.0.0.33~10.0.0.46
4번째 대역 : 10.0.0.48~10.0.0.63 / 실제 사용 범위 : 10.0.0.49~10.0.0.62
5번째 대역 : 10.0.0.64~10.0.0.79 / 실제 사용 범위 : 10.0.0.65~10.0.0.78
6번째 대역 : 10.0.0.80~10.0.0.95 / 실제 사용 범위 : 10.0.0.81~10.0.0.94
7번째 대역 : 10.0.0.96~10.0.0.111 / 실제 사용 범위 : 10.0.0.97~10.0.0.110
8번째 대역 : 10.0.0.112~10.0.0.127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3~10.0.0.126
9번째 대역 : 10.0.0.128~10.0.0.143 / 실제 사용 범위 : 10.0.0.129~10.0.0.142
10째 대역 : 10.0.0.144~10.0.0.159 / 실제 사용 범위 : 10.0.0.145~10.0.0.158
11번째 대역 : 10.0.0.160~10.0.0.175 / 실제 사용 범위 : 10.0.0.161~10.0.0.174
12번째 대역 : 10.0.0.176~10.0.0.191 / 실제 사용 범위 : 10.0.0.177~10.0.0.190
13번째 대역 : 10.0.0.192~10.0.0.207 / 실제 사용 범위 : 10.0.0.193~10.0.0.206
14번째 대역 : 10.0.0.208~10.0.0.223 / 실제 사용 범위 : 10.0.0.209~10.0.0.222
15번째 대역 : 10.0.0.224~10.0.0.239 / 실제 사용 범위 : 10.0.0.225~10.0.0.238
16번째 대역 : 10.0.0.240~10.0.0.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0.241~10.0.0.254
2. IP : 10. 0. 0. 0
SM : 255.255.255.248
> Subnet 248의 네트워크 개수=32
32/256 = 8 > 한 대역당 8개의 네트워크
1번째 대역 : 10.0.0.0~10.0.0.7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0.0.0.6
2번째 대역 : 10.0.0.8~10.0.0.15 / 실제 사용 범위 : 10.0.0.9~10.0.0.14
3번째 대역 : 10.0.0.16~10.0.0.23 / 실제 사용 범위 : 10.0.0.17~10.0.0.22
~
30번째 대역 : 10.0.0.232~10.0.0.239 / 실제 사용 범위 : 10.0.0.233~10.0.0.238
31번째 대역 : 10.0.0.240~10.0.0.247 / 실제 사용 범위 : 10.0.0.241~10.0.0.246
32번째 대역 : 10.0.0.248~10.0.0.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0.249~10.0.0.254
3. IP : 10. 0. 0. 0
SM : 255.255.255.252
> Subnet 252의 네트워크 개수=64
64/256 = 4 > 한 대역당 4개의 네트워크
1번째 대역 : 10.0.0.0~10.0.0.3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0.0.0.2
2번째 대역 : 10.0.0.4~10.0.0.7 / 실제 사용 범위 : 10.0.0.5~10.0.0.6
3번째 대역 : 10.0.0.8~10.0.0.11 / 실제 사용 범위 : 10.0.0.9~10.0.0.10
~
62번째 대역 : 10.0.0.244~10.0.0.247 / 실제 사용 범위 : 10.0.0.245~10.0.0.246
63번째 대역 : 10.0.0.248~10.0.0.251 / 실제 사용 범위 : 10.0.0.249~10.0.0.250
64번째 대역 : 10.0.0.252~10.0.0.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0.253~10.0.0.254
4. IP : 10. 0. 0. 0
SM : 255.255.254.0
> Subnet 254의 네트워크 개수 = 128
128/256 = 2 > 한 대역당 2개의 네트워크
Subnet이 3번째 옥텟에 있기 때문에 4번째 옥텟은 0~255
1번째 대역 : 10.0.0.0~10.0.1.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0.0.1.254
2번째 대역 : 10.0.2.0~10.0.3.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2.1~10.0.3.254
3번째 대역 : 10.0.4.0~10.0.5.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4.1~10.0.5.254
~
126번째 대역 : 10.0.250.0~10.0.251.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250.1~10.0.251.254
127번째 대역 : 10.0.252.0~10.0.253.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252.1~10.0.253.254
128번째 대역 : 10.0.254.0~10.0.255.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254.1~10.0.255.254
5. IP : 10. 0. 0. 0
SM : 255.255.128.0
> Subnet 128의 네트워크 개수 = 2
2/256 = 128 > 한 대역당 128개의 네트워크
Subnet이 3번째 옥텟에 있기 때문에 4번째 옥텟은 0~255
1번째 대역 : 10.0.0.0~10.0.127.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0.0.127.254
2번째 대역 : 10.0.128.0~10.0.255.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128.1~10.0.255.254
6. IP : 10. 0. 0. 0
SM : 255.255.192.0
> Subnet 192의 네트워크 개수 = 4
4/256 = 64 > 한 대역당 64개의 네트워크
Subnet이 3번째 옥텟에 있기 때문에 4번째 옥텟은 0~255
1번째 대역 : 10.0.0.0~10.0.63.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0.0.63.254
2번째 대역 : 10.0.64.0~10.0.127.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64.1~10.0.127.254
3번째 대역 : 10.0.128.0~10.0.191.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128.1~10.0.191.254
4번째 대역 : 10.0.192.0~10.0.255.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192.1~10.0.255.254
7. IP : 10. 0. 0. 0
SM : 255.255.224.0
> Subnet 224의 네트워크 개수 = 8
8/256 = 32 > 한 대역당 32개의 네트워크
Subnet이 3번째 옥텟에 있기 때문에 4번째 옥텟은 0~255
1번째 대역 : 10.0.0.0~10.0.31.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0.1~10.0.31.254
2번째 대역 : 10.0.32.0~10.0.63.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32.1~10.0.63.254
3번째 대역 : 10.0.64.0~10.0.95.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64.1~10.0.95.254
4번째 대역 : 10.0.96.0~10.0.127.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96.1~10.0.127.254
5번째 대역 : 10.0.128.0~10.0.159.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128.1~10.0.159.254
6번째 대역 : 10.0.160.0~10.0.191.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160.1~10.0.191.254
7번째 대역 : 10.0.192.0~10.0.223.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192.1~10.0.223.254
8번째 대역 : 10.0.224.0~10.0.255.255 / 실제 사용 범위 : 10.0.224.1~10.0.255.254
* 네트워크의 수
4. Packet Tracer 활용하여 문제 풀기
1. 아래와 같이 설정하시오
1. 내부 네트워크를 설계
2. 1.0.0.0/24 를 할당받음
3. Host 수 250
4. Gateway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IP
5. 서버는 네트워크의 첫번째 IP
6. PC는 네트워크의 두번째 IP
1. 내부 네트워크 설계
2. 서버에 IP 할당
3. PC에 IP 할당
4. Ping 테스트
2. 아래와 같이 설정하시오
1. 내부 네트워크를 설계
2. 200.200.200.0/25 를 할당받음
3. 서버는 네트워크의 첫번째 IP
4. PC는 네트워크의 두번째 IP
5. Gateway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IP
1. 내부 네트워크 설계
* 대역이 2개 이상으로 나뉘었을 때는 할당받은 ip가 속해있는 대역을 사용
2. 서버에 IP 할당
3. PC에 IP 할당
4. Ping 테스트
[41] Network - Packet Tracer |허브 | 스위치 | ARP | VLAN (0) | 2022.04.13 |
---|---|
[40] Packet Tracer 실습 (0) | 2022.04.11 |
[26] 네트워크 Packet Tracer Router 설정 | Subnetting 실습 (2) (0) | 2022.03.11 |
[25] 네트워크 Packet Tracer Router 설정 | Subnetting 실습 (1) (0) | 2022.03.10 |
[23] 네트워크 장비 & 주요 용어 | OSI 7 Layer | TCP/UDP 포트 | MAC & IP Address | Subnet Mask | Packet Tracer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