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XenServer] XenServer & XenCenter 설치 및 서버 등록 | 팀별 실습

IT/XenServer

by o_zeew 2022. 6. 7. 18:58

본문

(1) XenCenter 설치

(2) XenServer 설치

(3) XenCenter 서버 등록

(4) 팀별 실습


 1. XenCenter 설치

 

https://www.citrix.com/ko-kr/downloads/citrix-hypervisor/product-software/

 

다운로드 Product Software - Citrix South Korea

 

www.citrix.com

  - 위 사이트에서 XenServer ISO 파일 다운

 

  - 별 다른 설정 변경 없이 설치

 

  - 설치 완료가 되면 아래의 화면이 켜짐

 

 


 

 

2. XenServer 설치

1. XenServer 가상머신 생성

custom 설치

 

  - Version에 XenServer가 없기 때문에 Other Linux로 지정 (버전은 상황에 맞게)

Linux - Other Linux3.x kernel 64-bit
가상머신 이름
cpu 2개
메모리 8GB
디스크 용량 100GB
완료

 

2. 가상머신 설정

 

  - 가상화 서버 안에 또 가상화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는 Virtualize Intel VT-x/EPT or AMD-V/RVI 체크 필수

  - 체크하지 않아도 설치는 가능하지만 VM 설치시 오류

 

  - 다운받은 ISO 파일 넣어주기

 

3. XenServer 설정

   - 이동 : Tab 키

   - 이전으로 이동 : Alt+Tab 키

   - 선택 : Space Bar

US 키보드 (Korea 없음)
Disk의 모든 데이터 삭제
EULA 동의

 

  * 동적 할당 :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만큼 할당

    정적 할당 :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지정한 메모리를 모두 사용

동적할당 (thin provisioning) 사용
CD-ROM 사용을 위해 Local media
추가 팩 설치 X
media test X
root 패스워드 입력 (최소 6글자 이상)
고정 IP 할당

 

 - 실습을 위해 첫번째 DNS서버는 AD 서버의 IP

Hostname, DNS 설정
Asia Time Zone
Seoul Time Zone

 

  - NTP(Network Time Protocol) : 네트워크가 연결되어있는 컴퓨터끼리 시간을 동기화

Manual time entry 선택
XenServer 설치
현재 날짜와 시간을 지정하여 설정
OK 선택하여 재부팅

 

  - 정상적으로 설치 시 Configuration 화면이 뜸

Local Command Shell : shell 접속
root 사용자, 패스워드 입력

 

  - xsconsle 명령어 : 다시 Configuration 화면으로 이동

 

 


 

 

 3. NFS (W2K19-AD)

  - NFS에서 오류가 나면 대부분 버전 문제 

  - Windows는 3버전, Linux는 4버전이 배포되어있기 때문에 반드시 XenServer의 NFS설정에서 버전3으로 변경

 

  * 용량 문제를 위해 하드디스크 100GB 추가 후 진행 *

 

1. NFS 설치

NFS용 서버 설치

 

2. NFS 설정

   -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에 파일 생성

 

  - 01_ISO 폴더에 읽기 권한 부여

 

  - 02_VMDK 폴더에 읽기,쓰기 권한 부여

 

  - XenCenter에서 사용할 IOS 파일 넣기

CentOS7, Windows 10, Windows 2019

 

3. NFS에서 공유된 IOS로 Storage 생성

XenCenter - Storage - New SR
ISO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 NFS ISO 선택
Storage 이름 설정

 

  - 버전 호환을 위해 NFSv 선택

NFS로 공유 설정을 한 폴더의 경로

 

4. VMDK 공유

NFS 선택
Storage 이름 설정
VMDK 경로 설정

 

  * Local storage를 Default로 설정

 

5. 생성한 Storage를 사용해 VM 설치

New VM
Windows 10 설치
가상머신 이름 설정
NFS 공유를 통해 AD의 01_ISO 폴더에 있는 파일 사용 가능
생성

 

  - console에서 설치 진행 가능

 

 - 설치 완료 후 Xen tools 설치

guest-tools.iso로 xen tools 설치

 

 


 

 

4. 팀별 실습

  1. XenServer 8.2 & W2K19-AD를 Vrige Adpter로 설치

  2. 팀원의 XenServer를 나의 XenCenter에 연결

  3. Storage 연결

  4. Windows10 설치

 


1. XenServer8.2 설치

XenServer-2 생성

 

  - Bridge 카드 사용 시 포트포워딩 필요 X

8.2 버전의 iso 사용

 

2. IP 설정

  - 팀원들과 IP 충돌을 막기 위해 사전에 미리 지정

XenServer IP 설정
AD 서버의 IP

 

3. 팀원의 XenServer 접속

팀원1 Server
팀원2 Server
나의 Server

 

   - 서버 3개 모두 연결 성공 

 

  - 팀원의 Storage 확인 가능

 

  - 팀원의 W10-1 접속 가능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