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NAT 카드의 차이
(1) AWS
- CLI 설치
- IAM 사용자 생성
- S3
- EC2
- 보안 그룹
- xShell 접속
- httpd 실습
VMware Workstaion의 NAT 카드
- 가상머신에게 NAT 카드를 부여하지만 전체에 NAT 카드는 1개만 존재
- 중간에 가상의 NAT Switch를 통해 가상머신끼리 통신
VirtualBox의 NAT 카드
- 개별 가상머신마다 NAT Switch가 따로 존재하기 때문에 가상머신끼리 통신 불가
- NAT 카드 사용 시 가상머신들의 IP가 동일하지만 Switch가 다르기 때문에 상관 X
- 가상머신끼리 통신하기 위해서는 Host only 카드를 응용하거나 내부 네트워크 카드를 따로 생성해야함
→ NAT Network는 임의로 만드는 네트워크 (포트포워딩 X)
- 가상머신을 외부에 노출 시키고 싶을 땐 Public Network 카드 사용 (어댑터 브릿지)
- Public Cloud로 네트워크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힘들게 작업(라우팅 등) 할 필요 X
- Web Console, CLI,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관리 가능
- AWS 계정 생성

- region을 서울로 지정

<AWS CLI 설치>
- Amazon Web Service Command Line Interface : AWS를 Shell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

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WS Command Line Interface (amazon.com)
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WS Command Line Interface
설치 관리자의 아무 위치에서나 Cmd+L을 눌러 설치에 대한 디버그 로그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로그를 필터링하고 저장할 수 있는 로그 창이 열립니다. 로그 파일도 /var/log/install.log에 자
docs.aws.amazon.com
- Download 페이지

- 설치





- 설치 확인

<IAM 사용자 생성>
-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
- 사용자 추가


- 사용자 admin 추가
- 액세스 키 ID 및 비밀 액세스 키 활성화
- Console 로그인 비밀번호 활성화
- 콘솔 비밀번호 지정
- 비밀번호 재설정 필요 X

- 그룹 생성

- AdministratorAccess : 모든 권한





- 보안 자격 증명에서 콘솔 로그인 링크 확인 가능

- 액세스 키 생성





- 액세스 키 ID와 비밀 액세스 키는 메모장에 따로 적어놓기
- 비밀 액세스 키는 관리자 이외의 어떤 누구도 공유 금지

- Region 확인 (콘솔 접속시 필요)

- CLI 접속
* [aws configure]

* 계정 정보를 잊거나 새로 발급 받을 시 확인 방법 *
- config : region, output format 정보
- credentials : ID, Access Key 정보

<S3>
- simple storage service : 확장성, 데이터 가용성, 보안 및 성능을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 버킷 생성








- 확인

<EC2>
- Elastic Compute Cloud : 클라우드에서 확장 가능 컴퓨팅 용량을 제공

- 기본 설정으로는 보안 그룹 하나만 존재해야함
- 인스턴스 삭제 후 보안 그룹 1개 이외의 것이 존재한다면 삭제 필수

- 인스턴스 생성


- 프리 티어 사용 가능 : 무료 이용 가능
- 최신 버전의 AMI는 CentOS7 이상 버전과 호환되기 때문에 한단계 낮은 4.14 버전 사용


- 키 페어: 인증 시 필요, 인증서에서 사용하는 개인 키, 재발행 불가이기 때문에 분실 시 로그인 불가
- 로그인 하는 대상 : 공개키, 로그인 하려는 사용자 : 개인키


* 확인





- 인스턴스 생성 완료

<보안 그룹>
- 보안 그룹 : 방화벽
- 보안 그룹 편집

- 모든 사용자가 PING 가능
- 내 IP SSH 설정


<xShell 접속>
- xShell(외부) 접속을 위해서 공인 IP 입력


- Public Key 사용



- xShell 접속

<httpd 실습>
- httpd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 생성






* 인스턴스를 추가 생성하여 웹 페이지 생성 *





* 내부 IP로 인스턴스끼리 통신 가능 *

| [AWS] CLI를 통해 Key Pair 생성 | NAT Gateway | Load Balancing (0) | 2022.06.20 |
|---|---|
| [AWS] PPK Key (puttygen) 생성 | 자체 PEM Key 생성 | SSH 내부 접속 (0) | 2022.06.17 |
| [AWS] VPC | VPC 실습 (0) | 2022.06.16 |
| [AWS] Docker를 이용하여 MySQL DB + wordpress 연동 (0) | 2022.06.16 |
| [AWS] MySQL DB + PHP 연동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