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AWS

[실습] 종합 실습

o_zeew 2022. 7. 1. 14:04

<실습>

1. Route 53(Cloud DNS) DNS Service
 1.1. route 53에서 www.도메인이름은 loadbalancer의 IP를 사용. 이유 생각
2.LoadBalancer
 2.1. target group(instances group) -> AutoScale
3.AutoScale
 3.1.최소 1대 -> 최대 10, 1대씩 증가, CPU 사용률 40%
 3.2.ami(image) 는 wordpress webserver 이용해서 생성 후 - 시작 템플릿(instance template) 작성
4.관리형 DB 생성
 4.1.Mysql
 4.2.mysql client app을 이용하여 dbms에 접근 가능여부
5.WEB Server - wordpress 
 5.1.기본 페이지 활용
 5.2.userdata는 script를 이용하여 자동화
6.EBS Instance별 이동
7.S3를 이용한 정적인 웹페이지 구성
 7.1.blog.도메인이름 활용
8.vpc 생성
 8.1.public-a,c. was-a,c. db-a,c 로 구성
 8.2.was와 db는 nat gateway를 이용한 외부 통신
 8.3.nat gateway는 public-a에 배치
9.EFS(Cloud Storage)를 이용하여 여러 instance에 동일 데이터 배포 


1. VPC 네트워크 생성 (문제8)

VPC 생성

 

2. 서브넷 생성

VPC 네트워크의 서브넷 생성(web-a,c / was-a,c / db-a,c)

 

3.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 라우팅 테이블 설정

local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는 경우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라우팅 설정
web 서브넷들이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서브넷 연결

 

4. NAT 게이트웨이 생성

was와 db가 업데이트를 위해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NAT 게이트웨이 생성

 

  - 라우팅 테이블 설정

NAT 게이트웨이 등록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 생성
local에 속하지 못한 네트워크는 nat 게이트웨이로 나갈 수 있도록 설정
was와 db 서브넷이 nat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브넷 연결

 

5. RDS 생성 (문제 4)

- RDS 생성 시 db 서브넷으로 생성이 될 수 있도록 미리 서브넷 그룹 편집

db 서브넷으로 설정
서브넷 그룹 편집 완료
데이터베이스 생성 후 엔드포인트 확인
wordpress 연동을 위해 db 이름을 wordpress로 설정
nslookup과 엔드포인트를 사용해 RDS IP 주소 확인(사용자 데이터에 필요)

 

6. 이미지화 할 인스턴스 생성 (문제 5)

  - wp-config.php 파일 수정 시 localhost를 RDS IP 주소로 설정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해 wordpress 연동 스크립트 실행

 

  - wordpress 연동 확인

생성한 인스턴스의 공인 IP 확인
wordpress 연동 확인 가능

 

7. 이미지 생성 (문제 3)

wordpress 연동 인스턴스로 이미지 생성
이미지 생성 완료

 

8. 템플릿 생성

- Auto Scaling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서 템플릿 필수

생성한 이미지를 사용해 템플릿 생성

 

9. Auto Scaling 그룹 생성

생성한 템플릿을 사용해 Auto Scaling 그룹 생성
Auto Scaling이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인스턴스 1개 추가 생성됨

 

10. 대상그룹 생성 (문제 2)

/index.html 파일로 health check
auto scaling 그룹을 대상그룹에 포함
대상그룹 생성 완료

 

11. 로드 밸런서 생성 

대상그룹을 사용해 로드 밸런서 생성 완료

 

  - 로드 밸런서 설정 확인

auto sacling 그룹 생성 시 생성 된 인스턴스 접속
cpu 스트레스 주기
cpu 사용량 증가
auto scaling 그룹에 잠자는 인스턴스가 생성
인스턴스 확인

 

12. Route 53 (문제 1)

  - DNS Service

호스팅 영역 생성
도메인 = hosting.kr에 등록된 도메인
네임서버 확인
hosting.kr 네임서버에 등록
네임서버 등록 확인

 

  - www.jwoh.xyz  접속을 위한 레코드 등록

레코드 생성
www.jwoh.xyz 레코드 생성
레코드 생성 확인
도메인 명으로 접속 가능

 

13. S3를 이용해 정적 웹페이지 생성 (문제 7)

생성한 도메인명으로 버킷 생성
생성한 버킷에 index.html 파일 업로드
blog.jwoh.xyz 도메인 레코드 생성
레코드 생성 완료
생성한 도메인으로 접속 가능

 

14. EBS Instance 별 이동 (문제 6)

볼륨 생성
web-1에 볼륨 연결
web-1의 block 디렉토리에 마운트
test.txt 파일 생성
마운트 해제
볼륨 분리
web-2에 볼륨 연결
web-2의 block1 디렉토리에 마운트
web-1에서 생성한 test.txt 파일 확인 가능

 

15. EFS를 이용하여 여러 인스턴스에 동일 데이터 배포 (문제 9)

EC2용 관리형 파일 스토리지
파일 시스템 생성
파일 시스템 연결
IP를 통해 탑재 선택 후 가요영역a의 IP 확인
web-1에서 nfs를 통해 마운트
테스트를 위해 test.txt 파일 생성
web-2에서 마운트 시 동일한 데이터 확인 가능

 

16. mysql client app을 사용해 dbms 접근

nslookup과 엔드포인트를 사용해 RDS IP 주소 확인
web-1에 mysql client 설치 후 rds의 IP로 로그인
dbms 접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