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K8s

[K8s] namespace | nginx&httpd 시작페이지 작성

o_zeew 2022. 7. 20. 14:29

(1) Kubernetes

     - 용어

     - 복습

     - 네임스페이스 설정


  Kubernetes

[용어]

  - pod :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가장 기본적인 배포 단위,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단위

  - namespace : 클러스터를 논리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물리적 X),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를 묶는 하나의 가상공간 또는 그룹
                          다른 네임스페이스의 pod끼리 통신 가능

 

https://di-on.tistory.com/113?category=1083612 

 

[K8s] POD 생성 | Service 외부 노출 | POD & Service 삭제 | Worker node Join

(1) Kubernetes  - Pod 생성  - Service 외부 노출  - Pod & Service 삭제 (2) Worker node Join  Kubernetes 1. Docker와 Kubernetes의 차이  - 도커 : 이미지를 컨테이너에 띄우고 실행하는 기술 (한 개의..

di-on.tistory.com

  * node 생성 및 조인은 이전 포스팅 참조

 

<복습 nginx>

1. pod 생성

master node에 worker node 조인 상태
nginx 이미지를 사용해 pod 생성

 

2. 서비스 외부 노출

생성한 pod를 expose 후 port 번호 확인
해당 포트로 접속 후 서비스 확인

3. pod 접속

pod 확인

 

  - kubectl exec -it [pod명] -- /bin/bash : pod 접속

shell 접속 확인

 

4. 서비스 삭제

nginx 서비스 삭제 후 확인

 

5. pod 삭제

nginx pod 삭제 후 확인

 

<복습 http>

1. pod 생성

httpd 이미지를 사용해 pod 생성

2. 서비스 외부 노출

expose 실행 후 port 번호 확인
해당 포트로 접속 후 서비스 확인

 

3. pod 접속

동작중인 shell 접속

4. 서비스 삭제

apache 서비스 삭제

5. pod 삭제

apache pod 삭제

 

 


 

 

<네임 스페이스>

  - 클러스터를 논리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물리적 X),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를 묶는 하나의 가상공간 또는 그룹
    물리적 분류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네임스페이스의 pod끼리 통신 가능

test namespace 생성

 

- nginx

namespace 지정해서 pod 생성

 

  - 쿠버네티스는 vi 명령어 사용 불가 → cat 명령어 사용

nginx의 시작페이지 생성
nginx 서비스 외부 노출
포트 번호 확인
시작페이지 적용 확인
nginx 서비스 삭제
nginx 서비스 삭제 확인
pod 삭제 후 확인

 

- httpd

namespace 지정해서 pod 생성
pod 생성 확인
httpd의 시작페이지 생성
httpd 서비스 외부 노출 및 포트번호 확인
시작페이지 적용 확인
httpd 서비스 삭제 및 확인
httpd pod 삭제 및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