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네트워크 Packet Tracer Router 설정 | Subnetting 실습 (2)
<문제1>
1. 할당된 네트워크 1.1.1.0/24
2.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완성하세요!
3. 각 지역의 서버는 해당 네트워크의 첫번째 IP 사용
4. 각 지역의 PC는 두번째 IP 사용
5. DG주소는 각 지역네트워크의 마지막 IP 사용
6. DNS는 서울 서버의 IP 사용
7. 서울-부산 연결은 네트워크의 앞쪽부터 순차적으로
1. Subnetting
- 서울은 Default Gateway 포함 63개의 IP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네트워크와 브로드캐스트 IP를 더하면 65개의 IP가
필요 > 64개는 부족하기 때문에 128개 할당
- 부산은 Defualt Gateway 포함 31개의 IP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네트워크와 브로드캐스트 IP를 더하면 33개의 IP가
필요 > 32개는 부족하기 때문에 64개를 할당
- 서울 - 부산 구역에 남은 IP 할당
2. 서울 지역 조건에 맞게 IP 할당
3. 부산 지역 조건에 맞게 IP 할당
4. 서울 Router 세팅
5. 부산 Router 세팅
6. Ping 테스트
7. [show ip route] 명령어를 사용해 서울 Router의 라우팅 테이블 확인
8. Static Routing
* 서울 Router에게 부산 서버와 부산 PC로 가는 데이터를 부산 Router에게 보내는 정보만 입력하면
부산 Router가 데이터를 받아서 알아서 해결
IP - Subnet Mask - 본인 Interface / IP - Subnet Mask - 상대 IP
9. Ping 테스트
<문제2>
1. 할당된 네트워크 : 50.50.50.0/23
2.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완성하세요!
3. 각 지역의 서버는 해당 네트워크의 첫번째 IP 사용
4. 각 지역의 PC는 두번째 IP 사용
5. DG주소는 각 지역네트워크의 마지막 IP 사용
6. DNS는 서울 서버의 IP 사용
7. 서울-부산 연결은 네트워크의 앞쪽부터 순차적으로
1. Subnetting
- 서울은 Default Gateway 포함 190개의 IP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네트워크와 브로드캐스트 IP를 더하면 192개의 IP가
필요 > 128개는 부족하기 때문에 256개 할당
- 부산은 Defualt Gateway 포함 100개의 IP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네트워크와 브로드캐스트 IP를 더하면 102개의 IP가
필요 > 64개는 부족하기 때문에 128개를 할당
- 서울 - 부산 구역에 남은 IP 할당
2. Router에 Serial 포트 삽입
2. 서울 지역 조건에 맞게 IP 할당
3. 부산 지역 조건에 맞게 IP 할당
4. 서울 Router 세팅
5. 부산 Router 세팅
6. Ping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