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Linux DHCP & FTP 실습
DHCP & FTP 실습
※ Linux에서만 작업 ※
<문제>
(1) DHCP
1. 네트워크 10.0.0.0/24
2. 서버는 30대 운영 중, 네트워크의 앞쪽부터 순차적으로 고정 IP 사용 중
3. DHCP서버는 세번째 서버
4. DNS 서버는 첫번째 서버, 168.126.63.1 두개
5. 게이트웨이 주소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6. 기본 임대 시간 2시간 최대 임대시간 4시간
7. W10-1은 백한번째, W11-1은 이백일번째 IP를 우선적으로 사용
(2) FTP
1. 사용자는 aa, bb
2.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각 500MB의 aa.txt, bb.txt를 각각 생성함
3. passive mode 최소 포트 60000, 최대 61000 사용 중
4. anonymous 계정 사용 금지
5. /data 디렉토리 생성 후 banner, xferlog, chroot 파일 저장
6. 접속 후 3분이 지나면 세션 종료, 데이터 전송 중이라도 1분 후면 연결끊기
7. aa는 chroot 적용
8. W10-1은 ftp 접속 가능, W11-1은 접속 불가능하게 TCP_Wrapper 설정
9. 그 외 나머지 설정은 일반적인 설정으로 구성
<DHCP 설정>
1. ip 확인
2. VMware Workstation IP 변경
3. Host PC IP 변경
- 문제에 Host PC의 IP가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임의로 구성(뒤에서 두번째 IP)
4. 설정 파일 편집
5. Xshell 접속을 위해 등록정보 변경
6. DHCP, FTP 설치
7. 설정 파일 편집
- 필요 없는 내용 삭제
- 설정해야할 예약이 두개이기 때문에 예약 부분 하나 더 복사
- 문제 조건에 맞게 DHCP 서버 설정 변경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시작
8. W10-1, W11-1 에서 설정 적용 확인
- ipconfig /release 명령어로 기존 IP 초기화
- ipconfig /renew 명령어로 새로운 IP 할당
- ipconfig /all 명령어로 자세한 정보 확인
* 이 때 DNS 서버가 10.0.0.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url을 해석할 DNS가 없음
* IP로는 ping이 되기 때문에 인터넷이 안되는 것이 아닌 DNS가 url을 IP로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
* 2차 DNS를 추가하여 1차에서 해석 못한 url을 2차로 찾아가게 설정
* 다시 IP 받아서 설정 확인
<FTP 설정>
1. 사용자 aa, bb 생성 후 비밀번호 설정
2.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각 500MB 파일 생성
3. 관련 파일 생성
- banner file
- chroot list
- TCP Wrapper : hosts.deny 파일에 작성된 IP는 FTP 접속 불가
4. 설정 파일 편집
5. 방화벽 열기
* 방화벽을 명령어로 열게 되면 아래의 원본 파일이 수정 됨
명령어로 방화벽을 여는 것과 원본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방법이 있음
6. FileZilla에서 설정 적용 확인
- W11-1은 hosts.deny에 입력했기 때문에 접속이 불가능 해야함
- W10-1은 접속 가능해야함
7. Port 확인
* 리눅스에 net-tools를 설치하면 netstat와 ipconfig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