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Linux DHCP & FTP & DNS & WEB(HTTP) 실습
(1) 실습 설계
(2) CentOS7-2 서버 구축
(3) CentOS7-3 서버 구축
(4) CentOS7-1 서버 구축
(5) DNS 업데이트 방법
<실습 설계>
<문제>
1. DHCP
1. 네트워크 10.0.0.0/24
2. 서버는 30대 운영 중, 네트워크의 앞쪽부터 순차적으로 고정 IP 사용 중
3. DHCP서버는 세번째 서버
4. DNS 서버는 첫번째 서버, 168.126.63.1 두개
5. 게이트웨이 주소는 네트워크의 마지막
6. 기본 임대 시간 2시간 최대 임대시간 4시간
7. W10-1은 백한번째, W11-1은 이백일번째 IP를 우선적으로 사용
2. FTP
1. 사용자는 aa, bb
2.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각 500MB의 aa.txt, bb.txt를 각각 생성함
3. passive mode 최소 포트 60000, 최대 61000 사용 중
4. anonymous 계정 사용 금지
5. /data 디렉토리 생성 후 banner, xferlog, chroot 파일 저장
6. 접속 후 3분이 지나면 세션 종료, 데이터 전송 중이라도 1분 후면 연결끊기
7. aa는 chroot 적용
8. W10-1은 ftp 접속 가능, W11-1은 접속 불가능하게 TCP_Wrapper 설정
9. 그 외 나머지 설정은 일반적인 설정으로 구성
3. WEB
1. Main page만 서비스
2. 시작페이지 babo.html로 서비스
<CentOS7-2 서버 구축>
: 주 DNS, VSFTPD, WEB(MAIN)
- 주 DNS가 있는 CentOS7-2먼저 구성
1. 관련 파일 설치
2. FTP 설정
- ftp 서버에 접속할 사용자 aa, bb 생성 후 비밀번호 설정
- 각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500MB 용량의 파일 생성
- FTP 설정 관련 파일을 모을 디렉토리 생성
- banner 파일 생성
- chroot list 작성
- TCP Wrapper로 W11-1 의 접속 차단 설정
- 설정 파일 편집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시작
- 방화벽 열기
3. WEB 서버 (HTTP) 설정
- http의 설정파일 열기
- 클라이언트의 서버 접속 시 실행 할 시작페이지 파일 경로 설정
- 시작페이지 파일 설정
- 설정 변경 후 시스템 시작
- 방화벽 열기
4. DNS 설정 (주 DNS)
- 설정 파일 편집
- 정방향, 역방향 조회 영역 설정
- /var/named/ 디렉토리에 필요한 영역 파일을 동일한 파일명으로 복사
- 정방향 조회 설정 파일 작성
- 역방향 조회 설정 파일 작성
- 보조 DNS가 사용 가능하도록 others에게 읽기 권한 부여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재시작
- 방화벽 열기
- DNS IP 설정 변경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재시작
- 설정 적용 확인
<CentOS7-3 서버 구축>
: 보조 DNS, DHCP, WEB(MAIN)
1. 관련 파일 설치
2. DHCP 설정
- 설정 파일 편집
- 필요 없는 부분 삭제
- 예약 설정 부분 추가 (W10-1, W11-1)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시작
3. WEB 서버 (HTTP) 설정
- 설정 파일 편집
- 시작페이지 생성
- 설정 변경 후 시스템 재시작
- 방화벽 열기
* 사진에 없지만 [firewall-cmd --reload] 명령어를 사용해 방화벽 적용
4. DNS 설정 (보조 DNS)
- 설정 파일 변경
- 정방향, 역방향 조회 영역 설정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재시작
- 시스템 재시작하면 자동으로 주DNS 서버에서 영역 파일 받아옴
- 방화벽 열기
<CentOS7-1 서버 구축>
: 보조 DNS, WEB(MAIN)
1. 관련 파일 설치
- 수업 진행 중 http는 깔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DNS관련 파일만 설치
2. WEB 서버(HTTP) 설정
- 설정 파일 편집
- 시작 페이지 생성
- 설정 변경 후 반드시 시스템 재시작
- 방화벽 열기
3. DNS 설정 (보조 DNS)
- 설정 파일 변경
- 정방향, 역방향 조회 영역 설정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재시작
- 시스템 재시작하면 자동으로 주DNS 서버에서 영역 파일 받아옴
- 방화벽 열기
<설정 적용 확인>
- WEB 페이지
- DNS
* 주 DNS가 아닌 보조 DNS로 설정이 되어있어도 가능해야함
- FTP
<DNS 업데이트 방법>
- 주DNS에서만 업데이트 가능
- 새로운 정보 추가 후 serial을 수정해 업데이트 알림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재시작
- 보조 DNS에서 확인
- Windows에서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