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편집기로 설정 파일 열기anonymous 사용 안함xferlog 사용Passive Mode 사용을 위해 20번 포트 주석처리xferlog file 경로 설정접속 후 움직임 없을 시 120초 이후에 접속 차단데이터 전송 시간이 60초를 초과할 경우 데이터 전송 중단banner file의 경로 설정chroot list 사용 / chroot list file 경로 설정tcp wrapper 사용 안함 / chroot 적용 사용자 쓰기 가능 / passive mode 사용 / 최소 포트 65000 / 최대 포트 65100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시작
vsftpd 시스템 시작
- 방화벽 열기
ftp의 21번 포트, passive mode의 65000-65100 포트
3. 보조 DNS 설정
- 설정 파일 편집
vi 편집기로 설정 파일 열기모든 IP로 DNS 서비스 실행 / 모든 IP가 DNS에게 질의 하도록 허용
- 정방향, 역방향 조회 영역 파일 설정
vi 편집기로 조회 영역 파일 열기정방향 조회 영역 관련 부분 복사해서 사용역방향 조회 영역 관련 부분 복사해서 사용정방향과 역방향의 도메인 네임, IP 작성 / 보조 DNS이기 때문에 slave type / 파일명 / 주 DNS IP 입력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시작
dns의 named 시스템 시작
- 시스템 재시작시 자동으로 주DNS에서 영역 파일 가져옴
정방향 영역 파일 (jwoh.xyz), 역방향 영역 파일 (xyz.jwoh) 확인 가능
- 방화벽 열기
dns의 53번 udp, tcp 포트 열기
4. WEB 서버 (HTTP) 설정
- 필요한 디렉토리 생성
intra 관련 파일을 모을 디렉토리 생성
- 시작페이지 생성
main 시작페이지 생성main 시작페이지 작성intra 시작페이지 생성intra 시작페이지 작성
- Userfile을 생성 할 디렉토리 생성
- 사용자 생성
* 첫 생성만 -c 옵션 사용
htpasswd 명령어로 사용자 a, b 생성
- 접근 제한 설정
intra의 접근제한 설정 파일 생성Userfile 경로 / 사용자 a, b만 접근 가능
- 설정 파일 편집
vi 편집기로 설정 파일 열기가상호스트와 접근 제한 작성
- 설정 파일 변경 후 시스템 시작
web의 시스템 httpd 시작
- 방화벽 열기
httpd의 80번 포트 열기
<설정 적용 확인>
- DHCP 확인
w10-1확인w11-1 확인
- FTP 확인
ftp 접속 가능dir로 확인
- DNS 확인
* 주 DNS가 아닌 보조 DNS로 설정이 되어있어도 확인 가능해야함
실행창에 ncpa.cpl 입력
DNS 서버 주소를 보조 DNS로 변경dns 서버 설정 확인보조 dns 기본 서버 적용 확인 가능역방향 조회 가능
- WEB 확인
w10-1 Main 서버w10-1 도메인 이름w10-1만 블로그 접속 가능w10-1 intraw11-1 main 서버w11-1 도메인 이름w11-1 blog 접속 불가w11-1 intra 접속w11-1 intra 접속 가능
- NFS 확인 Linux
nfs client에서 파일 생성생성 파일 확인nfs server에서 client가 생성한 파일 확인 가능
- NFS 확인 Windows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NFS용 서비스 체크Windows client와 nfs server 마운트Windows client에서 마운트 된 드라이브 확인 가능windows clietn에서 파일 생성nfs server에서 windows client가 생성한 파일 확인 가능
- MAIL 확인
w10-1 기존 이메일의 서버를 CentOS7-2로 설정w11-1 기존 이메일 서버를 CentOS7-2로 설정w10-1 보내는 서버를 CentOS7-2로 설정w11-1 보내는 서버를 CentOS7-2로 설정사용자 aa가 사용자 bb에게 메일 전송사용자 bb 메일 받기 가능사용자 bb가 사용자 aa에게 답장 작성사용자 aa도 메일 받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