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 Network - Packet Tracer | STP
(1) STP
(2) Port 지정 실습
(3) PVSTP
1. STP(Spanning Tree Protocol)
1. 브리질 루프를 해결하기 이해 IEEE에서 정의한 표준프로토콜
2. 원리는 스위치의 특정 포트를 논리적으로 차단하여 프레임 전송처리를 못하게 하는 것
3. Switch들간에 BPDU 프레임을 멀티캐스트로 교환하여 스위치들간에 물리적인 연결 상태와
내부 토폴로지 변경 사항 및 루프의 위치를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Switch Port를 차단
Bridge ID
1. 64bit 체계로 Switch 구분하는 식별자
2.priority 16bit(기본값 32768 + VLAN 1)
3.MAC Address 48bit
spanning -tree vlan 1 priority
show spanning -tree vlan1
STP 동작과정
1.Root Bridge 선출 : 브릿지 ID가 가장 낮은 스위치
2.Root Bridge 모든 포트는 Designated Port가 됨
3.Root Bridge에서 송신하는 BPDU를 가장 작은 Cost값에서 수신 할 수 있는 포트를 Root Port로 설정
4.나머지 port의 cost 값은 동일하기 때문에 Briged ID값이 높은 쪽이 대체포트로 지정되어 차단
* show spanning-tree vlan 1로 확인 가능
* Rood Bridge : Bridge ID가 제일 낮은 Switch9
Root Port : Root Bridge까지의 cost 값이 가장 적은 switch7 0/24 port, switch10 0/23 port
Alternated Port : Switch7이 Switch10보다 Bridge ID가 낮기 때문에 Switch8 0/24 port
2. Port 지정 실습
* Priority 값을 조정하여 Block Port를 원하는 곳에 설정할 수 있음
<Primary 명령어 사용>
실습1
- Switch12 0/23 port를 Block Port로 설정하기
- Switch12 0/23 port와 가장 먼 Switch11이 Rood Bridge
- 그 다음으로 먼 Switch13이 Backup Root Bridge
- 현재 Rood Bridge 확인
- Switch11을 Root Bridge로 설정 후 확인
- Switch12를 막기 위해 Switch13을 Backup Root Bridge로 설정
- 확인
실습 2
- Switch18 f0/24를 Block Port로 지정
- 가장 먼 Switch21이 Root Bridge
- 두번째로 먼 Switch19가 Backup Root Bridge
- Switch21를 Root Bridge로 설정
- Switch19를 Backup Root Bridge로 설정
- 확인
<Priority 값 직접 변경>
실습 1
- Switch16 0/22 port를 Block Port로 설정하기
- Switch16 0/22 port와 가장 먼 Switch15가 Rood Bridge
- 그 다음으로 먼 Switch14가 Backup Root Bridge
- Switch15를 Root Bridge로 설정 (Priority 값을 가장 낮게 설정)
* Switch15의 Priority 값을 변경 하자마자 Port의 변화가 생김
- Switch14를 Backup Root Bridge로 설정
- 확인
- 원하는 곳에 Block Port 지정 완료
실습 2
- Switch23 f0/24를 Block Port로 지정
- Block Port에서 가장 먼 Switch24가 Root Bridge
- 두번째로 먼 Switch22가 Bakcup Root Bridge
- Switch24의 Priority 값 설정
- Switch22의 Priority 값 설정
- 확인
3. PVSTP (Per VLAN Spanning Tree Protocol)
- VLAN별 Port 지정
실습 1 - Primary 지정
- Switch28 vlan 1번이 Block 되기 위해서는 Switch26 vlan 1번이 Root Bridge
Switch27 vlan 1번이 Badkup Root Bridge
- Switch27 vlan 10번이 Block 되기 위해서는 Switch26 vlan 10번이 Root Bridge
Switch28 vlan 10번이 Backup Root Bridge
- Vlan 생성 후 Port 배치 (모든 Switch)
- Switch26 vlan 1, 10번을 Root Bridge로 설정
- Switch27 vlan 1번을 Backup Root Bridge로 설정
- Switch28 vlan 10번을 Backup Root Bridge로 설정
- 확인
* 아래 실습부터
vlan 1 : port 1-5
vlan 10 : port 6-10
vlan 20 : port 11-15
vlan 30 : port 16-20
그외 나머지 포트는 vlan 1
실습 2
- Switch29 vlan 1번이 Block 되기 위해서는 Switch30 vlan 1번이 Root Bridge
Switch31 vlan 1번이 Backup Root Bridge
- Switch30 vlan 10번이 Block 되기 위해서는 Switch31 vlan 10번이 Root Bridge
Switch29 vlan 10번이 Backup Root Bridge
- Switch31 vlan 20번이 Block 되기 위해서는 Switch20 vlan 20번이 root Bridge
Switch30 vlan 20번이 Backup Root Bridge
- Switch29 설정 : vlan 10 Backup Root Bridge, vlan 20 Root Bridge
- Switch30 설정 : vlan 1 Root Bridge, vlan 20 Backup Root Bridge
- Switch31 설정 : vlan 1 Backup Root Bridge, vlan 10 Root Bridge
- 확인
실습 3
- VLAN 1 : Switch38 Root Bridge, Switch36 Backup Root Bridge
- VLAN 10 : Switch37 Root Bridge, Switch38 Backup Root Bridge
- VLAN 20 : Switch35 Root Bridge, Switch37 Backup Root Bridge
- VLAN 30 : Switch36 Root Bridge, Switch35 Backup Root Bridge
- Switch35 설정
- Switch36 설정
- Switch37 설정
- Switch38 설정
- 확인
실습 4 - Priority 값 변경
- VLAN 1 : Switch47 Root Bridge, Switch48 Backup Root Bridge
- VLAN 10 : Switch46 Root Bridge, Switch47 Backup Root Bridge
- VLAN 20 : Switch48 Root Bridge, Switch46 Backup Root Bridge
- Switch46 설정
- Switch47 설정
- Switch48 설정
- 확인
실습 5
- VLAN 1 : Switch41 Root Bridge, Switch42 Backup Root Bridge
- VLAN 10 : Switch39 Root Bridge, Switch41 Backup Root Bridge
- VLAN 20 : Switch40 Root Bridge, Switch39 Backup Root Bridge
- VLAN 30 : Switch42 Root Bridge, Switch40 Backup Root Bridge
- Switch39 설정
- Switch40 설정
- Switch41 설정
- Switch42 설정
-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