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HTML] HTML 기본 설정 | 구조 파악 | <h#> | Block 태그 | Inline 태그

IT/HTML

by o_zeew 2024. 3. 4. 15:14

본문

13일차

목차

1. 사이트

2. HTML 사용 기본 설정

3. 구조 파악

4. <h#> 태그

5. 블록(block)태그

6. block 태그 명령어

7. Inline 태그

8. Inline 태그 명령어

 


 

 

1. 사이트

자바와스프링부유한 프로그래머가되자 : 네이버 카페 (naver.com)

 

자바와스프링부유한 프로그래머가되자 : 네이버 카페

자바프로그래밍 전용카폐입니다.

cafe.naver.com

 

2. HTML 사용 기본 설정하기

 

2. New File을 클릭하여 [파일명.html] 작성

 

3. !를 치고 Tab 키를 누르면 기본적인 html 폼이 자동으로 작성된다

 

 

4. 확장기능 설치

실시간 서버 : 입력하는 명령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Auto Rename Tag
Auto Close Tag : 명령어를 자동으로 종료해주는 기능(/)

 

 

3. 구조 파악

1. 구조 파악하기

 

 * html에서 주석은 <!-- 입력 > Auto Close Tag 기능을 설치했기 때문에 끝 부분의 --> 는 자동으로 입력됨

작성하지 않는다면 4.0으로 다운됨
languege 속성을 이용하여 언어 지정 / 한국어 : ko
head와 head 안에 작성
전 세계의 모든 언어를 지원할 수 있음
title 명 작성
본문 내용을 작성
title을 변경한 후 우클릭으로 Live Server 열기
액세스 허용
title이 바뀐것을 볼 수 있다 (Micro Soft의 Edge)

2. Edge는 HTML5를 100%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chrome 사용

chrome 변경 확인 / F12 키를 눌러 개발자 모드 열기
명령어나 태그가 해당하는 위치를 보여줌
JavaScript를 확인하게될 창

 

4. <h#> 태그

1. 명령어 입력해보기 (명령어는 되도록 소문자로)

body에 명령어를 입력하고 Live Server에서 확인
h뒤의 숫자는 글자 크기 (1부터 6까지 점점 작아짐)

 ** 글자의 크기를 위해 h#을 사용하면 안된다 > CSS 사용

 

 

5. 블록(block)태그

텍스트를 블록 형태로 묶어 처리하는 태그 (웹에서는 숫자도 텍스트)

한 줄 = 한 블록

블록태그 명령어가 끝나는 지점은 다음 단락으로 넘어감

블록으로 묶인 영역 표시

 

6. block 태그 명령어

1. <p> 태그 : 하나의 줄을 한 단락으로 묶는 명령어

한줄을 꽉 채우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블록 태그와 달리 2줄 이상으로 넘어가는 단락이 되어도 한 줄로 인지하는 태그

<p> 태그에 뉴스 기사 입력하기
작성시에 눌렀던 엔터가 적용되지 않는다 - 글자가 한줄을 가득 채워야 다음줄로 넘어감
사이즈가 줄어들면 다음줄로 넘어간다

 

2. <br> 태그 : <p> 태그 안에서 엔터 역할 (줄바꾸기)

   > <br> 태그는 같은 문장 안에서 엔터 역할이기 때문에 문장 간의 여백의 크기가 거의 없지만 <p> 태그는 한 줄을 의미하기 때문에 문장 간의 여백이 크다

<br> 태그를 넣은 곳에 줄바꿈이 적용되었다

 

3. &nbsp; : 스페이스바 역할 (여백)

순다이 피차이 사이에 엔터를 쳐도 적용되지 않음
스페이스바를 뜻하는 &nbsp; 를 입력한 만큼 생긴 공백 확인

 

4. <hr> : 단락의 주제가 바뀔 때 분위기 전환용으로 사용되는 줄 생성

<hr> 태그를 입력한 곳에 생성된 선 확인

 

5. <blockquote> : 인용문을 가져올 때 들여쓰기가 됨

자동완성기능
<blockquote> 의 내용은 들여쓰기가 적용되어 인용문임을 알려주고있다

 

6.<pre> : 자유롭게 쓰는 태그

 

 

7. Inline 태그

한줄로 줄바꿈 없이 텍스트를 표시하는 형태 (다음 글자가 바로 붙어서 나옴)

명령어가 끝나는 곳에서 단락이 변경되지 않고 이어져서 다음글자가 나옴

 

8. Inline 태그 명령어

1. <strong> : 진하게

진하게 효과 후 다음 글자가 붙어서 표시가 됨 (줄바꿈 X)

 

2. <b> : bold. 진하게

진하게 효과 후 다음 글자가 붙어서 표시가 됨 (줄바꿈 X)

 

3. <i> : 기울이는 태그

주위 텍스트에 비해 강조된 부분이나 저자의 생각들을 강조

 

<i> 태그 영역의 글자가 기울어짐

 

4. <em> : 기울이는 태그

기술용어, 외국어, 등장인물의 생각 등 주위와 구분해야 할 경우

 

5. <q> : 인용문을 " "로 표시

   * 같은 인용문을 표시하지만 <blockquote> 는 들여쓰기로 표시 

 

6. <mark> : 형광펜 역할. 일반적으로 인용문에서 특별한 부분 또는 검색결과를 강조할 때 사용

강조하고싶은 부분에 적용

 

7. <span> : 줄바꿈없이 글자영역을 묶을 때 사용. 스타일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시각적으로 드러나지 않음

상단의 style을 사용하여 span 명령어의 글자의 크기를 조절하고있다
<span>은 특정 글자들에 같은 스타일을 적용할 때 사용

 

8. <ruby> : 동아시아 글자를 표시하는 태그

    <rt> 동아시아 글자 위에 조그맣게 표시되는 태그

 

9. 특수문자

메모장에서 ㅁ입력 후 한자키 누르기
사용할 특수문자를 복사

 

10. Entity : < 등 명령어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문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ntity 문자로 작성해야함

 * '<'는 태그 명령어기 때문에 사용 불가 > '<'를 의미하는 Entity 문자인 &#60을 사용하면 '<' 출력 가능

 

11. <ul> : 순서가 없는 목록 태그

      <li> : 목록의 각 항목 표시

 

12. <ol> : 순서가 있는 목록 태그

      <ol start=" "> : 입력한 수부터 시작

 

13. <dl>, <dt>, <dd>

'IT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반응형웹구조  (0) 2024.03.08
[HTML] 폼 | label | video  (0) 2024.03.07
[HTML] 표작업  (0) 2024.03.06
[HTML5] 하이퍼링크 | <a>  (0) 2024.03.05
[HTML5] 무료 웹 호스팅  (0) 2024.03.0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