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SL
(2) 개인키, 공개키 생성
(3) Linux SSL 실습
(4) Windows SSL 실습
- 전송하는 데이터 암호화
- 종단간 신뢰성 확보 (공인인증서만 가능, 사설인증서는 보증해줄 제 3자가 없기 때문에 불가능)
- 제3자 공인인증기관 (KISA – 6개의 중간인증기관)
<대칭키 암호화>
-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
- 문서를 암호화 키로 암호화 시키면 복호화 키로 암호화 된 문서를 해제해서 사용
- 그러나 스니핑, 스푸핑 등의 문제 발생 (키 유출 시에 해커가 원본을 훔쳐보고 위조 할 수 있음)
-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할 시에는 키 관리의 문제 발생
- 키의 사용자가 많을 경우에도 관리 문제와 전송의 문제 발생
<공개키 암호화 RSA>
-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다름
- 공개한 공개키로 사용자가 암호화를 한 문서를 보내면 개인키를 가지고 풀어서 읽음
- 소인수분해를 사용하여 암호화
- 공개키로 암호화 한 문서를 개인키로 풀 수 있지만 반대의 상황은 불가
<전자 서명>
- 해쉬값으로 데이터 생성
- 개인키로 해쉬값을 암호화
- 암호화 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 암호화 된 데이터를 공개키로 풀기는 불가능, 해쉬값 같은지만 비교
* md5sum : 해쉬값을 통해 원본과 복호화된 문서가 동일한 문서인지 확인하는 명령어
- 실제 PC에서 공개키와 개인키 생성
- 생성키 확인
* 공개키의 제일 끝에 있는 컴퓨터 이름을 불필요(삭제)
- .ssh/ 디렉토리 생성 (키를 업로드할 디렉토리)
- CentOS7-1에게 공개키와 개인키 업로드
- 설정 파일 편집
- 시스템 재시작
- 설정 적용 확인
- 개인키의 권한 수정 (권한 오류 방지)
* 개인키를 생성할 때 기본값이id_rsa이기 때문에 다른 IP에 접속할 때 -i 옵션 필요 X
- CentOS7-1에 업데이트 한 공개키를 CentOS7-2, 7-3에게 복사
- 설정 파일 편집
- 설정 적용 확인
<SSL 인증서 생성>
1. openssl 설치
2. 개인키 생성
3. 개인키로 인증요청서 생성
4. 개인키와 인증요청서로 인증서 생성
5. 개인키와 인증서 위치 이동
<평문 전송 확인>
1. 실습 전 FTP 접속 확인
2. WinPcap (패킷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설치 (w10-1, w11-1)
3. Wireshark (패킷 분석 프로그램) 설치 (w10-1, w11-1)
4. Wireshark 실행
5. FileZilla에서 사진 업로드
- cmd창에서 확인
6. Wireshark 정지 후 저장
* 파일 형식을 -pcap으로 바꿔서 저장
7. 패킷 확인
* SSL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 모든 활동을 확인할 수 있음 = 보안에 취약
8. Hexedit 설치 (원시코드를 16진수로 바꾸어 보여주는 프로그램)
9. Hexedit 사용해보기
※ 평문 전송은 이렇게 모든 정보를 다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함 ※
<FTP - SSL>
1. 설정 파일 편집
2. 시스템 재시작
3. SSL 적용 확인
- 확인을 위해 wireshark 실행
- FileZilla 재접속 시 알 수 없는 인증서 화면이 나옴
* 그러나 사설인증서이기 때문에 회사 정보를 제외한 다른 정보들은 암호화 됨
- wireshark 캡처를 중지한 후 바탕화면에 저장
- 저장한 wireshark 파일 실행 후 ftp 검색
- 아무 파일 우클릭 - Follow - TCP Stream
<WEB - SSL>
1. 관련 프로그램 설치 (mod_ssl)
2. 설정 파일 편집(모든 CentOS)
3. 시스템 재시작
4. 방화벽 열기
5. SSL 적용 확인
- 확인을 위해 wireshark 실행
- https://도메인 이름
- wireshark 정지 후 바탕화면에 저장, 파일 실행
1. 서버 인증서 생성
* 리눅스와 윈도우 인증서는 확장자가 다르기 때문에 호환 불가
2. 인증서 내보내기
3. 인증서 가져오기
* MAIN WEB 페이지가 있는 모든 Windows에서 진행
4. 인증서 적용
5. 설정 적용 확인
[28] DHCP Binding Address | 범위 옵션 | Filtering | Windows 실습 | Linux 실습 (2) (0) | 2022.03.15 |
---|---|
[27] DHCP Windows 실습 | Linux 실습 (1) | 예약 기능 설정 (0) | 2022.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