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o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io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2)
    • 코딩테스트 (4)
      • 프로그래머스 (4)
    • 프로젝트 (0)
    • 실습 (4)
      • 포트포워딩 (1)
      • Untangle (2)
    • IT (192)
      • 기타 (4)
      • AWS (10)
      • vSphere (3)
      • vagrant (1)
      • XenServer (2)
      • Docker (7)
      • Ncloud (3)
      • Cloud (1)
      • MySQL (2)
      • WindowsServer (15)
      • Network (13)
      • Linux (23)
      • GCP (4)
      • K8s (2)
      • GIT&GITHUB (3)
      • HAProxy (1)
      • Terraform (0)
      • Linux & Windows Server (3)
      • JAVA (42)
      • HTML (6)
      • JavaScript (3)
      • CSS3 (7)
      • BOOTSTRAP (1)
      • JQuery (10)
      • DataBase (15)
      • Spring (8)
      • React (3)
    • 자격증 (9)
      • Azure (9)
    • 자료구조 (5)
    • 알고리즘 (4)

검색 레이어

dio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AZ-104] 22.10.13

    2022.10.13 by o_zeew

  • [AZ-104] 22.10.12

    2022.10.13 by o_zeew

  • [K8s] namespace | nginx&httpd 시작페이지 작성

    2022.07.20 by o_zeew

  • [GIT&GITHUB] Remote Repository | Branch | 최초 commit 삭제

    2022.07.13 by o_zeew

  • [GIT&GITHUB] GIT | 작업 영역 | add & commit | checkout |

    2022.07.13 by o_zeew

  • [K8s] POD 생성 | Service 외부 노출 | POD & Service 삭제 | Worker node Join

    2022.07.03 by o_zeew

  • [실습] 종합 실습

    2022.07.01 by o_zeew

  • [GCP] Auto Scaling

    2022.06.29 by o_zeew

[AZ-104] 22.10.13

배포된 리소스에서 Azure Resource Manager 템플릿 검토 - 리소스 그룹 블레이드 참조 사용 (배포 블레이드) 가용성 집합의 일부 VM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모든 VM중지 - 가용성 집합에서 실행중인 모든 VM이 동일한 물리적 하드웨어 클러스터를 사용해야하기 때문 - VM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 물리적 하드웨어 클러스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모든 VM을 먼저 중지한 다름 다른 물리적 하드웨어 클러스터로 하나씩 재시작 VM에 있는 단일 데이터 디스크를 다른 VM으로 옮길 때 VM을 중지하지 않아도 분리 가능 가용성 집합에 대해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구성할 수 없는 5개의 업데이트 도메인 할당 - 그 후 Resource Manager 배포를 늘려 최대 20개의 업데이트 도메인 제공 가능) K..

자격증/Azure 2022. 10. 13. 16:50

[AZ-104] 22.10.12

Multi-Factor Athentication을 적용하는 가장 좋은 방법 = 조건부 액세스 - Azure AD 보안 설정 페이지에서 설정 MFA 구성 방법 (조건부 액세스 정책) 액세스 제어 > 권한 부여 제어 변경 새로운 인증 제공자가 더이상 생성 X - 마이그레이션 불가 PolicyType Initial : 전체 동기화 = 시간이 오래 걸림 PolicyType Delta : 마지막 변경 사항 동기화 = 즉각적인 동기화 가능 Azure AD Connect = 동기화 Netlogon = Active Directory OnPremise의 인증에 사용 읽기 전용 지역 중복 저장소 -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저장하며 복사본은 다른 지역에 존재 - 보조 지역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음을 보장 LRS : 로컬 중..

자격증/Azure 2022. 10. 13. 09:17

[K8s] namespace | nginx&httpd 시작페이지 작성

(1) Kubernetes - 용어 - 복습 - 네임스페이스 설정 Kubernetes [용어] - pod :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가장 기본적인 배포 단위,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단위 - namespace : 클러스터를 논리적으로 분류할 수 있음(물리적 X),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를 묶는 하나의 가상공간 또는 그룹 다른 네임스페이스의 pod끼리 통신 가능 https://di-on.tistory.com/113?category=1083612 [K8s] POD 생성 | Service 외부 노출 | POD & Service 삭제 | Worker node Join (1) Kubernetes - Pod 생성 - Service 외부 노출 - Pod & Service 삭제 (2) Worker node Join Kube..

IT/K8s 2022. 7. 20. 14:29

[GIT&GITHUB] Remote Repository | Branch | 최초 commit 삭제

(1) Remote Repository 생성 및 업로드 (2) Branch - 서로 다른 Branch에서 다른 파일 작성 - 서로 다른 Branch에서 하나의 파일 작성 (3) 최초 commit 삭제 1. reository 생성 및 업로드 1. 토큰 생성 - github 로그인 시 토큰 필요 - 토큰은 생성시에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저장 필수 2. Remote repository 생성 3. Local 영역 작업 - test1 디렉토리에 git을 사용하기 위해 초기화 - README.md를 commit 하기 위해 Staging area로 올려주기 -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 : repository를 origin으로 대체 - push를 실행 시 commit한 파..

IT/GIT&GITHUB 2022. 7. 13. 22:36

[GIT&GITHUB] GIT | 작업 영역 | add & commit | checkout |

(수정중) (1) Git - Git - Git 설치 - Git add & commit - Git checkout Git - 리눅스 커널 때문에 생성됨, 커널 버전에 대한 형상 관리를 하기 위해 생성 - 로컬에 저장하면 협업이 힘들기 때문에 원격지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 1.Local Repository 1.1. GIT 2. Remote Repository 2.1. GIT HUB - 형상관리 : 소스코드 관리. 문서관리라고 생각(개발하는 코드도 문서의 종류), 문서에 버전을 붙여 차이점 분리 - 버전관리 : 변화가 있을 때마다 관리 해주는 것 - Git의 작업 영역 3가지 - working tree : 추적 불가 - staging area : working tree에서 git add 명령어로, 이때부터 추적..

IT/GIT&GITHUB 2022. 7. 13. 15:11

[K8s] POD 생성 | Service 외부 노출 | POD & Service 삭제 | Worker node Join

(1) Kubernetes - Pod 생성 - Service 외부 노출 - Pod & Service 삭제 (2) Worker node Join Kubernetes 1. Docker와 Kubernetes의 차이 - 도커 : 이미지를 컨테이너에 띄우고 실행하는 기술 (한 개의 컨테이너 관리에 최적화) - 쿠버네티스 : 도커를 관리하는 룰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서비스 단위로 관리하는데에 최적화) 2. 설치 준비 - 메모리가 2기가가 되지 않으면 이상한 오류가 나기 때문에 신경써서 2기가 이상으로 주기 - dns가 없기 때문에 최초 통신은 hostname으로 하게 된다 (hostname 설정 중요) 3. master 1개, node 2개 생성 - 스크립트를 통해 설치 진행 4. worker node를 mast..

IT/K8s 2022. 7. 3. 18:12

[실습] 종합 실습

1. Route 53(Cloud DNS) DNS Service 1.1. route 53에서 www.도메인이름은 loadbalancer의 IP를 사용. 이유 생각 2.LoadBalancer 2.1. target group(instances group) -> AutoScale 3.AutoScale 3.1.최소 1대 -> 최대 10, 1대씩 증가, CPU 사용률 40% 3.2.ami(image) 는 wordpress webserver 이용해서 생성 후 - 시작 템플릿(instance template) 작성 4.관리형 DB 생성 4.1.Mysql 4.2.mysql client app을 이용하여 dbms에 접근 가능여부 5.WEB Server - wordpress 5.1.기본 페이지 활용 5.2.userdata는..

IT/AWS 2022. 7. 1. 14:04

[GCP] Auto Scaling

Auto Scaling 1. VPC 네트워크 생성 2. 방화벽 규칙 생성 - 방화벽은 네트워크별로 생성 3.Cloud SQL 인스턴스 생성 4. 데이터베이스 생성 -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명 변경 가능 → 설정파일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변경해줘야함 5. 이미지화 할 VM 인스턴스 생성 - /var/www/html/로 옮긴 파일들을 apache 일반계정으로 설정 - 새로 생성한 Cloud SQL 인스턴스의 내부 IP 설정 - 로드밸런서 health check에서 php 파일을 읽지 못하기 때문에 wordpress 연동 실습 할 때 index.html 파일이 존재해야함 - 이미지 생성 시 인스턴스가 잠시 꺼지는 상황이 발생시 httpd 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ystemctl enable http..

IT/GCP 2022. 6. 29. 14: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8
다음
TISTORY
dio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