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o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io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2)
    • 코딩테스트 (4)
      • 프로그래머스 (4)
    • 프로젝트 (0)
    • 실습 (4)
      • 포트포워딩 (1)
      • Untangle (2)
    • IT (192)
      • 기타 (4)
      • AWS (10)
      • vSphere (3)
      • vagrant (1)
      • XenServer (2)
      • Docker (7)
      • Ncloud (3)
      • Cloud (1)
      • MySQL (2)
      • WindowsServer (15)
      • Network (13)
      • Linux (23)
      • GCP (4)
      • K8s (2)
      • GIT&GITHUB (3)
      • HAProxy (1)
      • Terraform (0)
      • Linux & Windows Server (3)
      • JAVA (42)
      • HTML (6)
      • JavaScript (3)
      • CSS3 (7)
      • BOOTSTRAP (1)
      • JQuery (10)
      • DataBase (15)
      • Spring (8)
      • React (3)
    • 자격증 (9)
      • Azure (9)
    • 자료구조 (5)
    • 알고리즘 (4)

검색 레이어

dio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Linux] Linux 디스크 관리(1) Storage 종류 & 저장 방식 | Block Storage | LVM

    2022.02.23 by o_zeew

  • [Linux] Linux /etc/shadow 분석 & 관련 명령어 | /etc/default/useradd | /etc/skel | /etc/login.defs

    2022.02.22 by o_zeew

  • [Linux] Linux 사용자 및 그룹 관리 | useradd, usermod 명령어

    2022.02.22 by o_zeew

  • [Linux] Linux vi 편집기 | 기본명령어

    2022.02.22 by o_zeew

  • [Linux] 파일 및 디렉토리 속성정보(MetaData) 분석 | 권한 변경(chmod, chown, umask) | MAC time

    2022.02.22 by o_zeew

  • [Linux] Linux 압축 & Archive

    2022.02.22 by o_zeew

  • [Linux] Linux 기본 명령어

    2022.02.22 by o_zeew

  • [Windows Server] VMware Workstation 실습 환경 구축 | 가상머신복제 | 윈도우 원격접속

    2022.02.22 by o_zeew

[Linux] Linux 디스크 관리(1) Storage 종류 & 저장 방식 | Block Storage | LVM

(1)Storage 종류 (2)Storage 저장 방식 (3) VMware Workstaion에서의 Block Storage (4) 디스크 사용방법 및 설치 (5) LVM(Logical Volume Manager) 1. Storage 종류 1. DAS(Direct Attach Storage) - IDE, SCSI, SATA - 원격지 설치 불가능, 물리적인 Machine 내장 혹은 최대 1M정도를 넘지 않는 곳에 설치 - 물리적인 연결매체의 최대 유효거리를 넘지 못한다(단점) - 파일 시스템 공유가 불가능(단점) - 안정적이며 속도가 빠르다(장점) - 비용이 저렴하다(장점) 2. NAS(Network Area Storage) - 통상적으로 Network 환경내에 구성 - 속도는 10Mbps~Gbps - ..

IT/Linux 2022. 2. 23. 18:00

[Linux] Linux /etc/shadow 분석 & 관련 명령어 | /etc/default/useradd | /etc/skel | /etc/login.defs

(1) /etc/shadow (2) 관련 명령어 (3) chage 명령어 실습 (4) /etc/default/useradd (5) /etc/skel (6) /etc/login.defs 1. /etc/shadow : 사용자의 계정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 분석 ceo : ID $6$TjWz9u8M: : 암호화된 패스워드(SHA512) 19041: : 마지막으로 패스워드를 변경한 날짜 0: : 패스워드 최소 사용기간 (이 기간 동안은 패스워드 변경 불가, 그냥 쓰세요!) 99999: : 패스워드 최대 사용일, 99999는 무제한임 (개인정보보호법 통상 45일, 최대 6개월 이내 변경) 7: : 경고 메세지 출력일 : : 유예기간 : : 계정 만료일 2. 관련 명령어 [chage] * 옵션 -m : 패스워..

IT/Linux 2022. 2. 22. 15:28

[Linux] Linux 사용자 및 그룹 관리 | useradd, usermod 명령어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 (2) 사용자 계정 생성 (3) /etc/passwd 파일 분석 (4) useradd (5) usermod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 관련된 파일 및 디렉토리 [/etc/passwd] : id,패스워드,uid,gid,코멘트,홈디렉토리,shell [/etc/group] : id,패스워드,gid,사용자 [/etc/shadow] : id,패스워드,마지막으로 패스워드 수정한날짜,패스워드최소사용기간, 패스워드최대사용기간,경고메세지출력일,유예기간,계정만료일 [/etc/default/useradd] : 기본그룹,유예기간,계정만료일,shell,spool생성여부 [/etc/login.defs] : 메일사서함위치,패스워드최소사용일,최대사용일,경고메세지출력일, 패스워드최소길이,uid시작및끝번호,..

IT/Linux 2022. 2. 22. 15:26

[Linux] Linux vi 편집기 | 기본명령어

(1) vi 편집기 (2) vi 편집기 명령어 1. vi 편집기 :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문서 편집기로 텍스트 기반의 편집기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여야 합니다. 2. vi 편집기 명령어 vi 시작 명령어 명령어 실행 설명 vi 파일명 파일 열기, 작성 view 파일명 읽기 전용으로 파일 열기 vi 커서 이동 명령어 명령어 실행 설명 h(←) 왼쪽으로 커서 이동 j(↓) 아래로 커서 이동 k(↑) 위로 커서 이동 l(→) 오른쪽으로 커서 이동 w 오른쪽 한 단어의 끝 부분으로 커서 이동 e 오른쪽 한 단어의 앞 부분으로 커서 이동 b 왼쪽 한 단어의 앞 부분으로 커서 이도 ^ 행의 맨 왼쪽으로 커서 이동 $ 행의 맨 오른쪽으로 커서 이동 H 화면의 맨 위로 이동 M 화면의 중간..

IT/Linux 2022. 2. 22. 10:07

[Linux] 파일 및 디렉토리 속성정보(MetaData) 분석 | 권한 변경(chmod, chown, umask) | MAC time

1. 파일 및 디렉토리 속성정보(MetaData) 분석 ls -l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 : 파일 [-], 디렉토리 [d], Symbolic link [l] rw- : user(owner)권한, r 읽기 4, w 쓰기 2, x 실행 1 r-- : group 권한, r 읽기 4, w 쓰기 2, x 실행 1 r-- : 기타사용자(other), r 읽기 4, w 쓰기 2, x 실행 1 1 : link 갯수 root : 소유주(owner) root : 그룹(group) 2 : 용량(size) 2월 17 09:49 :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 a.txt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 ** 모든 파일은 x 실행 권한이 있어야 접근 가능, rw가 있더라도 ..

IT/Linux 2022. 2. 22. 10:05

[Linux] Linux 압축 & Archive

1. Archive : Backup이나 압축을 위해서 여러개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작업 - 예전 Tape Drive 시절 여러 곳에 혼재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한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tar] (Tape Archive) * 옵션 -c : Archive 파일 생성 (필수옵션) -x : Archive 파일 해제 (필수옵션) -v : 작업 진행 과정 확인 (View, 공통 옵션) (필수옵션 x) -f : 파일이름 지정 (필수옵션) -t : 해제하지 않고 아카이브 파일 확인 -r :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 파일 추가 -u :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 업그레이드 된 파일 추가 -C : 아카이브 다른 경로에 해제 ex) # tar -cvf 아카이브파일이름 파일명1 파일명2 파일명3..

IT/Linux 2022. 2. 22. 10:01

[Linux] Linux 기본 명령어

1. Linux - 1990년 필란드 헬싱키 대학의 리누즈 토발즈 개발 - Unix 교육용 운영체제 Minix - x86시스템에서 구동 불가 - Linux : Minix를 x86 cpu 장착된 컴퓨터에서 사용가능하게 만든 버전 배포판 종류 - Kernel은 동일하지만 Application의 종류가 다르다. - Debian -> Debian : Debian.org -> Ubuntu.com - Slackware -> slackware : slackware -> : suse suse.com - Redhat -> redhat : redhat.com -> Fedora : https://getfedora.org/ -> CentOS : wiki.centos.org -> Rockylinux : rockylinux.or..

IT/Linux 2022. 2. 22. 00:09

[Windows Server] VMware Workstation 실습 환경 구축 | 가상머신복제 | 윈도우 원격접속

* 현재 가상머신은 Windows 2019(W2K19-Test), Windows 10(W10-Test), Windows 11(W11-Test) 설치까지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 1. 업데이트 중단하기 * 가상머신에 업데이트가 걸리면 무거워서 느려지기 때문에 실습할 때는 반드시 꺼주기 Ctrl+r 키로 실행창을 열어 services.msc 에 접속해줍니다 서비스 관리자에서 'W'키를 눌러 Windows Update를 찾은 뒤 더블클릭을 해줍니다 서비스 상태가 '사용중'으로 되어있다면 중지 버튼을 눌러서 중지시키고, 시작유형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해줍니다 2-1. 제어판 설정(방화벽) 실행창에서 control을 입력하여 으로 이동합니다 제어판에 들어가면 보기 기준을 작은 아이콘으로 바꿔줍니다 Windows..

IT/WindowsServer 2022. 2. 22. 00: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24 25 26 27 28
다음
TISTORY
dio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