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2.20 5일차
목차
1. 데이터의 형변환
2. printf
3. 실습4
[수업 목표]
1. 형 변환 원인과 방법
2. 연산자의 종류와 이해
1. 데이터의 형변환
1) 캐스팅 : 큰 자료형 > 작은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강제)
2) 프로모션 : 작은 자료형 > 큰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자동)
int k = (int)(3.14) > 정수(int)는 4byte, 실수(3.14)는 8byte이기 때문에 8byte를 4byte로 변환하기 위해서 강제로 int 적용
long k = 3; > 정수(3)은 4byte, long은 8byte이기 때문에 3은 자동으로 long 적용
promotion : 데이터가 작은것에서 큰것으로 바뀌는 것(자동 형변환)
casting :
ByteTest.java
- main함수가 작성된 기본 골격
* a는 byte형 / 1은 정수형
> byte형인 a가 +1을 만나서 정수형으로 promotion 되기 때문에 mismatch 오류 발생
> 데이터 형이 맞지 않으면 오류 발생
> 데이터가 유실될 위험성을 감안해서라도 데이터형을 바꿔서 사용하기 위해선 casting 필요
- byte로 선언해줘야한다
- byte는 최대 127까지 이기 때문에 +1을 한 결과 -128이 되었다
- 다시 +1을 해줬을 때의 결과값
2. Printf
print + format : 출력할 양식을 정해서 출력하겠다는 의미
%s : s > 문자열을 의미 (String type) , 일반적으로 쓰는 것이기 때문에 헷갈릴때는 s를 사용하는 편이다
%30s : 30 > 자리값(오른쪽 정렬) *일반적으로 숫자는 무조건 오른쪽 정렬
%-30s : -30 > 자리값(왼쪽 정렬)
* printf(" ", a)
println(" " + a)
* tot을 정수 2로 나누면 소수점 아래가 다 지워지게됨
정수2를 double로 선언해주면 정수2가 2.0으로 선언되면서 평균이 제대로 나오게 됨
%d > decimal : 10진정수
%f > floating-point : 부동 소수점
\n : 줄 바꾸기
7.1 > 전체 7자리까지 출력 / 소수점 한자리 수를 의미
* > 크다(초과)
> : 크거나 같다(이상)
< 작다 :미만
<=작거나 같다(이하)
== 같다( ===)
!= 같지 않다
3. 실습4 PrintfTest2.java
1) 국,영,수 과목의 점수를 임의의 변수에 저장한 후 총점과 평균을 계산하고,
2) 평균이 60 이상이면 true를, 아니면 false를 출력하시오.
(단, 성적들도 모두 출력)
*평균이 60일 때도 동일하게 true
* 평균이 0.03이 부족하기 때문에 false
* %b : boolean값
[JAVA] 진법 | 인코딩과 디코딩 | 아스키 | 유니코드 (0) | 2024.02.21 |
---|---|
[JAVA] Scanner (0) | 2024.02.21 |
[JAVA] 변수 실습2 | 데이터 유형 | 실습3 (1) | 2024.02.19 |
[VSCode] Visual Studio Code 설치 (0) | 2024.02.16 |
[JAVA] 코드 | 컴파일 javac | 오류 내보기 | String / int | 변수 | 실습1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