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er VLAN
(2) L3 스위치
* 실습 준비(복습)
- 각 스위치에 vlan 설정
* 1층 스위치
* 2층 스위치
* 3층 스위치
* 4층 스위치
* 5층 스위치
- 다른 네트워크를 통신시키기 위해서는 라우터 필요
* 현재 설정은 같은 VLAN끼리만 통신 가능
- 서로 다른 vlan 끼리 통신 가능
- 가상의 인터페이스 생성 후 vlan끼리 연결, 라우터와 연결된 스위치는 반드시 trunk mode
- 연결된 interface로 이동하여 no shutdown으로 활성화(IP 넣지 않음)
<Inter VLAN 실습>
- Router 설정
- 상위 인터페이스 생성(활성화만 진행)
- 상위 인터페이스 . 숫자(vlan과 동일하게 설정이 편리)
- 인캡슐레이션 방식과 IP 주소 입력
- 스위치가 지나가는 VLAN을 인식할 수 있도록 모든 VLAN을 생성
- Ping test
- 기본적으로 vlan1번에 속해있음
- port에 게이트웨이 추가 시는 다른 port를 사용하지만 같은 IP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IP 충돌 발생
- vlan1번에 게이트웨이 추가 시 전체 사용 가능
- 스위치에 라우터 기능을 추가
<L3 스위치 실습>
- 스위치 설정
- no switchport 선언
* 라우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스위치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설정
- IP 설정
* no switchport 선언을 한 스위치는 라우터 기능을 하기 때문에 IP 설정 가능
- ip routing
* 라우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명령어
- routing table 확인
* 현재 라우터는 자신과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만 인식
- routing table 작성
* interface는 자신이 내보낼 port
ip는 상대방의 router ip
- Ping test
[45] Network - Packet Tracer | STP (0) | 2022.04.21 |
---|---|
[43] Network - Packet Tracer | L3 스위치 실습 (0) | 2022.04.14 |
[41] Network - Packet Tracer |허브 | 스위치 | ARP | VLAN (0) | 2022.04.13 |
[40] Packet Tracer 실습 (0) | 2022.04.11 |
[26] 네트워크 Packet Tracer Router 설정 | Subnetting 실습 (2) (0) | 202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