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o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ion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222)
    • 코딩테스트 (4)
      • 프로그래머스 (4)
    • 프로젝트 (0)
    • 실습 (4)
      • 포트포워딩 (1)
      • Untangle (2)
    • IT (192)
      • 기타 (4)
      • AWS (10)
      • vSphere (3)
      • vagrant (1)
      • XenServer (2)
      • Docker (7)
      • Ncloud (3)
      • Cloud (1)
      • MySQL (2)
      • WindowsServer (15)
      • Network (13)
      • Linux (23)
      • GCP (4)
      • K8s (2)
      • GIT&GITHUB (3)
      • HAProxy (1)
      • Terraform (0)
      • Linux & Windows Server (3)
      • JAVA (42)
      • HTML (6)
      • JavaScript (3)
      • CSS3 (7)
      • BOOTSTRAP (1)
      • JQuery (10)
      • DataBase (15)
      • Spring (8)
      • React (3)
    • 자격증 (9)
      • Azure (9)
    • 자료구조 (5)
    • 알고리즘 (4)

검색 레이어

dio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IT/Linux

  • [Linux] Linux 패키지 관리(2) Local repository | Source

    2022.03.03 by o_zeew

  • [Linux] Linux 패키지 관리(1) yum | rpm

    2022.03.02 by o_zeew

  • [Linux] Linux Quota | userquota | groupquota

    2022.02.28 by o_zeew

  • [Linux] Linux ACL (Access Control List) | 명령어 | 옵션 | 실습

    2022.02.24 by o_zeew

  • [Linux] Linux 디스크 관리 (2) 파티션 분할 설치(swap, /, /boot, /home) | LVM 실습

    2022.02.24 by o_zeew

  • [Linux] Linux 디스크 관리(1) Storage 종류 & 저장 방식 | Block Storage | LVM

    2022.02.23 by o_zeew

  • [Linux] Linux /etc/shadow 분석 & 관련 명령어 | /etc/default/useradd | /etc/skel | /etc/login.defs

    2022.02.22 by o_zeew

  • [Linux] Linux 사용자 및 그룹 관리 | useradd, usermod 명령어

    2022.02.22 by o_zeew

[Linux] Linux 패키지 관리(2) Local repository | Source

(1) Local repository (2) source 설치 1. Local repository - 인터넷 저장소 -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 1. centos7 everything이 필요 : wiki.centos.org -> download -> 7.9 mirrors 2. 실행중인 vm의 cdrom에 everything.iso 파일 넣기 3. [lsblk] 명령어로 디스크 확인 후 디렉토리 /cd 생성 4. /dev/sr0 or /dev/cdrom 으로 마운트 5. cdrom의 패키지 파일 복사 6. 외부 사이트에 있는 기존 repository 정보 파일 이동 * mv 명령어로 파일을 다 옮겨 외부 repository에 대한 정보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yum으로 설치 불가 7. rpm..

IT/Linux 2022. 3. 3. 21:42

[Linux] Linux 패키지 관리(1) yum | rpm

(1) 패키지 관리 종류 (2) yum (3) rpm (4) binary (source) 1. 패키지 관리 종류 REDHAT : rpm # yum Debian : deb # apt Suse : rpm # zypper 2. yum - 인터넷 상의 Repository(저장소)를 이용해서 패키지를 관리 - 주로 배포판 개발 회사들이 관리 - 장점 - 설치가 아주 쉽다 - 의존성 문제까지 해결해준다 - 업그레이드시 설정파일이나 데이터 파일 백업 불필요 - 단점 - 반드시 인터넷과 DNS가 정상적으로 동작해야만 한다 - 최신 버전이 아닌 안정화된 버전 - custermizing이 불가능하다 (설치 위치나 모듈 선택 불가) 3. rpm - Binary 설치보다는 쉽다 - 허나 의존성 문제헤서 자유롭지는 못하다 - ..

IT/Linux 2022. 3. 2. 19:59

[Linux] Linux Quota | userquota | groupquota

(1) quota (2) user quota 실습 (3) group quota 실습 1. Quota - 사용자 및 그룹별로 디스크 사용량을 제한하는 기술 2. 1. selinux가 비활성화 된상태에서 진행합니다 2. quota는 설치해야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yum 명령어로 quota 설치합니다 3. 비어있는 디스크를 파티셔닝 해줍니다 4. 파티션 확인 후 ext4 파일시스템을 생성합니다 5. 디렉토리를 생성 후 마운트를 해줍니다 * 명령어로 마운트를 할 시에 리눅스를 재부팅 하면 마운트가 풀리게 됩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etc/fstab에 마운트 정보를 등록합니다. ex) 장치명 마운트포인트 파일시스템형식 defaults,usrjquota=aquota.user,jqfmt=vfsv0 0 0 6. ..

IT/Linux 2022. 2. 28. 20:55

[Linux] Linux ACL (Access Control List) | 명령어 | 옵션 | 실습

(1) ACL(Access Control List) (2) ACL 명령어 (3) ACL 옵션 (4) ACL 실습 1. ACL (Access Control List) - 접근 제어 목록을 생성해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게 디렉토리나 파일의 권한을 부여 - 파일과 디렉토리의 확장 속성 중 하나 2. ACL 명령어 - [setfacl] : acl을 설정할 때 쓰는 명령어 - [getfacl] : 설정한 acl을 확인할 때 쓰는 명령어 3. ACL 옵션 -m : 권한 수정 -x : 특정 사용자의 권한 삭제 * mask값 : 기준이 되는 최소 값. mask 값이 rx로 설정된다면 user의 권한은 rx만 사용 가능. 추가 사용자의 권한이 아무리 높아도 mask의 권한을 넘을 수 없음. -b : 전체 acl 삭제 * ..

IT/Linux 2022. 2. 24. 18:57

[Linux] Linux 디스크 관리 (2) 파티션 분할 설치(swap, /, /boot, /home) | LVM 실습

(1) swap (2) / (root 디렉토리) (3) /boot (4) 파티션 분할 설치 (5) LVM 파티션 생성 (6) 파티션 용량 추가 1. swap 1. 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기술, swap동작하면 Memory 증설이 됨 2. 통상적으로 메모리사이즈의 2배 2. / (root 디렉토리) : 최상위 디렉토리. (윈도우의 c:) 3. /boot : 부팅이 관련된 파일 존재 (없다면 부팅이 안됨) 1. 논리적인 Volume(LVM, Loftware RAID)에 속하게 되면 읽어들일 수가 없다 2. /boot는 반드시 표준 파티션쪽에 두어야함!!! 4. 1. 가상머신 만들기 2. ISO image file 집어넣기 3. 가상머신 재생 후 CentOS 7 설치하기 4. KDUMP 비활성화 하기 5..

IT/Linux 2022. 2. 24. 15:42

[Linux] Linux 디스크 관리(1) Storage 종류 & 저장 방식 | Block Storage | LVM

(1)Storage 종류 (2)Storage 저장 방식 (3) VMware Workstaion에서의 Block Storage (4) 디스크 사용방법 및 설치 (5) LVM(Logical Volume Manager) 1. Storage 종류 1. DAS(Direct Attach Storage) - IDE, SCSI, SATA - 원격지 설치 불가능, 물리적인 Machine 내장 혹은 최대 1M정도를 넘지 않는 곳에 설치 - 물리적인 연결매체의 최대 유효거리를 넘지 못한다(단점) - 파일 시스템 공유가 불가능(단점) - 안정적이며 속도가 빠르다(장점) - 비용이 저렴하다(장점) 2. NAS(Network Area Storage) - 통상적으로 Network 환경내에 구성 - 속도는 10Mbps~Gbps - ..

IT/Linux 2022. 2. 23. 18:00

[Linux] Linux /etc/shadow 분석 & 관련 명령어 | /etc/default/useradd | /etc/skel | /etc/login.defs

(1) /etc/shadow (2) 관련 명령어 (3) chage 명령어 실습 (4) /etc/default/useradd (5) /etc/skel (6) /etc/login.defs 1. /etc/shadow : 사용자의 계정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 분석 ceo : ID $6$TjWz9u8M: : 암호화된 패스워드(SHA512) 19041: : 마지막으로 패스워드를 변경한 날짜 0: : 패스워드 최소 사용기간 (이 기간 동안은 패스워드 변경 불가, 그냥 쓰세요!) 99999: : 패스워드 최대 사용일, 99999는 무제한임 (개인정보보호법 통상 45일, 최대 6개월 이내 변경) 7: : 경고 메세지 출력일 : : 유예기간 : : 계정 만료일 2. 관련 명령어 [chage] * 옵션 -m : 패스워..

IT/Linux 2022. 2. 22. 15:28

[Linux] Linux 사용자 및 그룹 관리 | useradd, usermod 명령어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 (2) 사용자 계정 생성 (3) /etc/passwd 파일 분석 (4) useradd (5) usermod 1. 사용자 및 그룹 관리 관련된 파일 및 디렉토리 [/etc/passwd] : id,패스워드,uid,gid,코멘트,홈디렉토리,shell [/etc/group] : id,패스워드,gid,사용자 [/etc/shadow] : id,패스워드,마지막으로 패스워드 수정한날짜,패스워드최소사용기간, 패스워드최대사용기간,경고메세지출력일,유예기간,계정만료일 [/etc/default/useradd] : 기본그룹,유예기간,계정만료일,shell,spool생성여부 [/etc/login.defs] : 메일사서함위치,패스워드최소사용일,최대사용일,경고메세지출력일, 패스워드최소길이,uid시작및끝번호,..

IT/Linux 2022. 2. 22. 15:2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dion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