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7] Network - Packet Tracer | Routing | RIP | OSPF

IT/Network

by o_zeew 2022. 4. 22. 19:09

본문

(1) Routing

(2) RIP

(3) OSPF


1. Routing

Routing

  - 패킷에 대한 목적지 IP주소와 일치하는 경로를 라우팅테이블에서 검색하여 패킷을 인터페이스로 출력

  - 경로정보검색, 최적경로선출, 선출된 경로 관리

 

1. 경로수집(Path Discovery)

   - 네트워크에 할당된 서브넷에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경로 정보를 검색 및 수집하는 방법

2. 경로선출 (Path Selection)

    - 수집된 경로 정보들을 기반으로 각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선출하는 과정 - 매트릭 상수를 계산

3. 경로관리(Path management)

    - 수집된 경로 정보와 그 안에서 선출된 최적 정보들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과정

 

정적 라우팅(Static Routing)

  - 관리자가 직접 설정하여 경로를 생성

  - 설정이 번거로우나 Connected 다음으로 신뢰있는 경로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로 사용

 

동적 라우팅(Dynamic Routing)

  -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관리

 

Connected 경로

  -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로컬네트워크가 Layer 2계층 동작이 가능한 상태이고 IP주소 또는 Subnet이

    할당 되었다면, 라우터는 자신의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서브넷을 라우팅 테이블에 Connected 경로로 등록한다.

  - bandwidth : 실제 속도 아님, 매트릭 값 계산에 사용 kbps

  - clock rate : 실제 데이터 전송 속도 bit

 

DTP(Data Terminal Equipment)

  -PC,Server,Router
  -유니폴라

DCE(Data Comminication Equip,emt)

  -DSU ,CSU
  -바이폴라 : 신호복원력이 강함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ICP(Interior Gateway Protocol)

  - 동일조직 즉 독일 AS 내에서 사용

  - AS(Autonomous System)

Distance Vector : RIP, RIPV2, IGRP

Link State : OSPF, IS-IS

Advanced Distance Vector : EIGRP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다른 AS간에 사용

  - 속도는 느리지만 많은 양의 라우팅 정보 업데이트 가능

Path Vector : BGPV4

 

 

Distance Vector Algorithm

  1.라우터와 라우터간의 최적 경로만 교환
  2. 목적지까지 가기위한 최적의 경로만 관리
  3. 목적지 서브넷,매트릭,넥스트홉

 

Link State Algorithm

  1.라우터와 라우터간의 모든 경로 정보 교환
  2. 목적지 서브넷,메트릭,넥스트홉,목적지 서브넷을 갖고 있는 라우터 정보

 

Advanced Distance Vector Algorithm

  1.디스턴스 벡터+ 링크 상태
  2. 네이버 관계 및 토폴로지 정보를 디스턴스 벡터에 추가
  3. 라우터와 라우터간 최적 경로만을 교환
  4. 목적지 서브넷,메트릭,넥스트홉

 

Classful Routing Protocol

  1.라우팅 업데이트 정보에 서브넷 마스크를 포함하지 않는 프로토콜
  2.CIDR 및 VLSM 사용불가
  3. RIPv1 ,IGRP

 

Classless Routing Protocol

  1. 라우팅 업데이트 정보에 서브넷 마스크를 포함
  2. RIPv2, EIGRP , BGPv4 -> no auto-summary  자동요약해지

 


 

2. RIP

  - Distance Vector Al 사용

  - Routing Protocol

  - Classful Routing Protocol

  - 1969년 처음 사용

  - RFC 1058

  - UDP 520

 

 

<실습 1>

구성도

 

1. 라우터 기본 설정

왼쪽 라우터
가운데 라우터
오른쪽 라우터

 

  * RIP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를 광고

 

2. Version 1으로 RIP 설정

  * 자신과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에는 광고할 필요 X

Seoul Router RIP
Daejeon Router RIP
Busan Router RIP

 

  * RIP는 Classful Routing Protocol이기 때문에 Subnemask 인식 불가

    → 세분화해서 network를 광고해도 구별하지 못함

세분화해서 광고한 네트워크를 모두 1.0.0.0으로 묶어서 인식
Routing Table
Routing Table이 올라오지 않기 때문에 Ping 불가

 

 * Version 2로 올려서 Subnetmask를 인식시켜야함 * 

 

 

3. RIP Version 2 설정

Seoul Router
Daejeon Router
Busan Router

 

4. Routing Table 확인

Seoul Router Routin Table
Daejeon Router Routing Table
Busan Router Routing Table
Ping 가능

 

5. 관리용 IP 설정 (vlan 1)

관리용 IP(끝에서 두번째) 설정, 게이트웨이 주소 입력

 

6. Telnet 접속 설정

관리자 모드 진입을 위해 password 설정
telnet 접속 가능

 

 

7. SSH 설정

  - Telnet은 평문 접속이기 때문에 보안성 낮음

  - Domain name, 암호화 키, Local 사용자 설정 필요

 

  - Local 사용자와 도메인 생성

privilege 가장 높은 레벨 설정

 

   - 암호화 키 생성

키 값 : 2048

 

  - SSH Version 설정

version 2 설정

  - SSH 설정

local 사용자 로그인 / telnet 접속 시 ssh로 접속 설정

 

  - 확인

ssh 접속 가능

 


 

<실습 2>

  - Local 사용자 생성

  - SSH Version 2 설정, Local Login

  - Switch에 관리용 IP 설정

  - RIP Version 2 사용

 

 

 

1. Router 기본 설정

왼쪽 라우터
가운데 라우터
오른쪽 라우터

 

2. Router RIP 설정

왼쪽 라우터 RIP
가운데 라우터 RIP
오른쪽 라우터 RIP

 

3. SSH 설정

Seoul Router SSH 설정
ssh 접속 가능

 

4. Switch에 관리용 IP 설정

끝에서 2번째 IP 설정

 


 

3. OSPF(Open Short Patr First)

  - RIP과의 차이 : RIP는 속도에 관계 없이 hop의 갯수가 가장 낮은 경로를 선택, Router가 15개 이상 넘어갈 수 없음

                       OSPF는 링크의 속도를 계산하여 가장 빠른 경로 선택

  - IGP

  - Routing Protocol

  - 표준 프로토콜 : 어떤 회사의 장비든 사용 가능

  - 링크상태 알고리즘

  - Classless Protocol : Subnet 인식 가능

  - CIDR, VLSM 지원

  - 와일드카드마스크 사용 : 서브넷마스크를 뒤집은 것

  - Area 번호가 같아야 Routing Table 교환 가능

 

 

<실습 1>

구성도

 

 

1. Router 기본 설정

왼쪽 라우터
오른쪽 라우터

 

2. OSPF 설정

왼쪽 라우터 ospf 설정
오른쪽 라우터 ospf 설정

 

3. Routing Table 확인

왼쪽 라우터
오른쪽 라우터

 

4. Ping Test

PC4 에서 진행
PC4에서 진행

 


 

 

<실습 2>

 

  - OSPF 설정

왼쪽 라우터
가운데 라우터
오른쪽 라우터

 

 

  - Ping Test

1.1.1.1에서 진행
1.1.1.1에서 진행

 

관련글 더보기